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및 투자 이야기

주식 종합 창/ 호가 창/ 용어 정리 하는 덤덤이

by 미니덤 2022. 4. 27.

안녕하세요 덤덤이 입니다.

오늘도 간단하게 공부를 하면서 알아가 봅시다.

 

 

종합창

주식 어플에서 종합 탭에 들어가니 여러 정보들이 나옵니다.

저희가 저번에 공부했던 몇 가지 용어들이 보이네요.(시가, 전일, 고가, 저가)

그러면 이제 나머지 용어들도 알아봐야겠죠.

 

거래량 / 거래대금 주식시장에서 매매된 주식의 수량을 나타낸 것이 거래량
/ 거래량을 금액으로 표시한 것
신용잔고율 상장주식대비 신용으로 매수한 주식의 비율
(신용 잔고율이 올라간다는 것은 해당 주식이 올라갈 것을 예상하여 빚을 지고 주식을 매수한 분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EPS 주당순이익을 뜻 하는 것으로,
해당 사업 연도에 발생한 당기순이익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
(이 수치가 높다는 것은 경영 실적이 양호하고, 배당 여력도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PER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현재 주가가 지난 1년간의 순이익대비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주식 PER이 낮은 주식일수록 앞으로 주가가 오를 여지가 더 크다고 판단이 가능하다)
시가총액 증권 시장에서 상장된 증권 모두를 그날 종가로 평가한 금액
(즉 시가총액의 크기는 기업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나타냄)
시가총액 = 주가 X 총 주식 수
외인보유비중 이 주식을 보유한 사람 중 외국인의 비중을 뜻함

 

이제 다음 호가창으로 넘어가서 ~

 

호가창

 

호가
바로(부를) 호, 가격 가
주식을 비롯한 시장경제체계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선 판매자의 의사가 중요한데 이때 입찰경쟁을 벌이게 되는데 이 가격 경쟁을 하는 행위를 뜻하며, 서로 가격 흥정을 해내가는 과정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붉은색은 매수 , 파란색은 매도 뜻하며

 

1. 매도 가격을 뜻합니다.

2. 매도 가격별 주문량 뜻합니다.

 

3. 매수 가격을 뜻합니다.

4. 매수 가격별 주문량을 뜻합니다.

 

매수 주문량, 매도 주문량 현재 판매수량과 구매하는 수량이 얼마인지 실시간으로 나타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옆에 노란 동그라미 보시면 체결강도가 퍼센트로 나와있습니다.

체결강도
매수가 많은가 매도가 많은가 알 수 있는 지표이며, 100 이상일 경우 매수세가 강하여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으며
100이하라면 매도세가 강하여 반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입니다.

 

다음은 차트 보는 법을 알아야겠죠~

그런데 이 부분을 공부하는데 너무 어렵더라고요....

내용도 많고 너무 복잡하고요. 다음에 좀 정리되면 정리해봐야 할 것 같아요...

 

 그래서 공부하던 중에 몇 가지 알게 된 용어를 더 정리해보았어요.

 

손절/익절

손절 손실을 보며 주식을 파는 행위
익절 이득을 보면서 주식을 파는 행위

예수금/증거금

예수금 임시로 먼저 받은 뒤 돌려주는 금액(선금이나 보증금)
보통 주식거래를 위해서 증권계좌에 넣어둔 현금
증거금 주식을 살 때, 일정액을 예수금에서 차감하게 되는데
이때 매수 시 최소한으로 보유해야 하는 현금

데이트 레이팅/스윙매매

데이트레이팅 주식을 하루 안에 사고파는 방법
보통 하루에 2~3번정도 매매를 진행함
하루에 수십번 초단타로 매매하는 경우는'스캘핑'이라고 부름
스윙매매 주식을 매수하고, 2~3일 정도 보유했다가 차익실현을 하는 단기매매를 뜻함.

주식의 이름

주도주 해당 주식을 가지고 하는 매매가 항상 많으며,
시세가 주가 동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식
테마주 증권 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사건이 발생할 경우,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한꺼번에 변동이 일어나는 모든 주식
동전주 동전으로 살 수 있다하여 붙은 이름,
1000원 미만의 주식을 뜻함
작전주 작전의 대상이 된 주식임,
주로 브로커나 대주주 등이 특정한 기업의 주식을 매입 및 폭등시켜 이익을 챙기는 주가조작 행위
품절주 시중에 유통량이 적은 주식을 의미함
테마주의 한 형태로 봄

특이한 용어

라운드 피겨 마디 가격으로 딱 떨어지는 가격

 

예로 천 원, 오천 원, 만 원 등으로 딱 떨어지는 가격대를 말하며,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사람들이 대부분 이 정도 가격에 매수해야지, 매도해야지라고 생각할 때

저항선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판매자는 1만 원이 되면 팔아야겠다 생각하고, 구매자는 9천 원이 되면 사야겠다.

이런 식으로 심리를 가지고 되어 있어서 그렇다고 하네요

 

대충 주유하실 때나 계산할 때 보통 이런 심리가 있죠

 

역시 어떤 공부든 조금씩 알아갈 수록 어려워지는 것 같아요.

내용도 많고 점점 알면 알수록 복잡해지네요. 어려운 용어도 많구요..

차트 보는 법도 조금 공부해봤는데 방법도 다양하고 내용이 많아서 정리가 안돼요 ㅎㅎ

조금 더 정리가 되면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