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초(기본)용어 공부 하는 덤덤이
투자와 재테크를 시작하면서...
직장 동료나 친구, 지인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니 제 부족한 부분을 시작부터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도 모르는 용어들이 난무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일단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알아보고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용어 정리하고 기본적인 공부를 하는 중에도 투자를 병행할 생각이지만...
처음 시작할 때보다는 추가적으로 투자하는 금액은 줄이고 좀 더 공부에 투자할 생각입니다.
저는 초보중 초보 왕초보
주식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고 주변 이야기만 거의 흘려들은 수준이라 기본부터 알아가 볼 생각입니다.

주식
주식회사의 자본을 일정한 금액으로 분할한 것.
이 주식을 보유하면 해당 주식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으로 주주는 자신의 보유한 주식만큼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가
주식의 가격,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실시간으로 변경됨)
이 부분은 저 포함 대부분 아시겠지만 그래도 한 번 적어봤습니다.ㅎㅎ
본격적으로 가보시죠~!
주식 거래시간 [증시-증권시장을 줄여서 부르는 말]
(사진을 자세히 보고 싶은 분은 한번 사진을 한번 클릭해 주세요.)
정규 시간이 아닐 때도 거래할 수 있는 시간이 있습니다.
다만 이 시간엔 정규시간과 다르게 실시간 체결이 진행되지 않으며 몇 가지 조건 하에 거래가 체결됩니다.
우선 시간 외 종가는 장전 시간 외 종가와 장후 시간 외 종가로 나눕니다.
오전 8시 30분부터 40분까지는 전일 종가로 거래할 수 있는데 이를 장전 시간 외 종가 거래라고 합니다.
오후 3시 40분부터 4시까지는 당일 종가로 거래할 수 있으며 이를 장후 시간 외 종가 거래라고 합니다.
이외에 시간 외 단일가 거래에선 투자자들의 주문을 일정 시간 동안 모아서,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합니다.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거래 할 수 있으며 당일 종가 대비 10%까지 변동이 가능하고, 10분 단위로 매수자 또는 매도자의 주문이 모아져서 체결됩니다.
[매수자 - 주식을 사는 사람, 매도자 - 주식을 파는 사람]
기본용어 1
현재가 | 장중에 실시간으로 바뀌는 주가 |
시가 | 9시에 주식거래 장이 열려 정해진 주가 |
종가 | 3시 30분 주식시장 종료되면서 정해진 주가 |
고가 | 당일 장 중 가장 높았던 주가 |
저가 | 당일 장 중 가장 낮았던 주가 |
상한가 | 주가가 가장 높아질 때 가격 |
하한가 | 주가가 가장 낮아질 때 가격 |
전일 | 전날 장이 종료될 때 정해진 주가 |
기본 용어 2
지정가 | 주식을 주문할 때,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것 |
시장가 |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으로, 수량만 지정해서 주문하는 것 |
조건부 지정가 | 지정한 가격으로 주문이 접수됐다가, 정규장 종류까지도 주문이 체결되지 않으면 그날 종가로 주문이 체결되는 주문 방식 |
체결 | 원하는 가격으로 매수or매도 주문이 완료된 것 |
미체결 | 주가 변동으로 인해 원하는 가격에 매수or매도 주문이 완료되지 못하는 것 |
결제일 | 체결된 주문에 따라 주식 또는 현금이 주식계좌로 들어오는 날, 국내 주식 기준으로 체결일 +2영업일 |
미수거래 | 당장 주식을 매수할 현금이 없어도, 일단 투자금액의 일부만으로 주식을 매수하고 나중에 부족한 금액(미수금)을 채워 넣는 방식 |
예수금 | 주식 거래를 위해 계좌에 넣어둔 현금 |
증거금 | 주식 매수 시 최소한 있어야 하는 현금 |
기본 용어 3
배당 -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입의 일부를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으로, 현금 또는 주식으로 지급된다.
(주주는 주식을 기업에서 고시한 기준일까지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공모주- 비상장 주식을 증권시장에서 공개하는 제도를 통해서 일반투자자들에게 배정되는 주식
증자- 기업이 자본금 규모를 늘리는 것
감자- 기업이 자본금 규모를 줄이는 것
(주식시장에서 기업이 자본금 규모를 조절할 때 사용됨)
(증자의 경우 다양한 권리가 발생하며, 배당과 마찬가지로 기준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권리를 얻는다)
기본 용어 4
서킷브레이커 - 코스피, 코스닥 주가지수가 급등락 하는 경우 발동된다.
3단계로 나뉘는데, 단계에 따라 20분간 매매가 중단되거나 심각한 경우 당일 장이 종료된다.
코스피(KOSPI) | 종합주가지수 증권 시장에서 상장된 상장 기업의 주식 변동을 기준 시점과 비교 시점을 비교하여 작성한 지표 [제1의 주식시장(주로 대기업,대기업 계열사)] |
코스닥(KOSDAQ) | 우리나라의 장외 증권시장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장외 거래 주식을 매매하며, 증권 거래소 시장과는 달리 별도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벤처 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중심이 되는 또 다른 형태의 주식 시장 [제2의 주식시장(주로 중소기업,벤처기업)] |
사이드카 - 서킷브레이커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면, 코스피 200, 코스닥 150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5~6% 급등락 하는 경우에 발동된다. 이 경우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 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되는데, 상승의 경우에는 매수 호가가,
하락의 경우에는 매도 호가의 효력이 해당된다.
VI(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 장치라는 뜻으로, 종목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났을 때
단일가 매매를 적용해 주가급변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제도이다. 크게 동적 VI와 정적 VI로 나누며,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된다.
저도 적으면서 공부 할 겸 이렇게 정리하며 기억하기 위해 게시물로 만들다 보니 부족한 부분이 조금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공부를 시작해보니 듣기만 하던걸 정확한 뜻도 알 수 있고 좋네요... 근대 솔직히 일부 용어는 도대체 어디 써먹는 건가 하는 것도 있는데 아직 알아봐야 할 내용과 용어도 많고 이것들을 기본적으로 숙지하고 있어야 더더욱 시장 상황을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주식을 공부한다고 다 주식으로 성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기초 용어 같은 것도 모르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나 주장만 듣고 투자하기에는 걱정이 되요.
그래서 어는 정도의 용어는 알아야 시장을 파악하기 쉬워지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저는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주식하는 대부분 분들은 알고 계시겠지만 혹시나 저처럼 모르고 주식하시는 분들이나 이제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참고가 됐으면 좋을 것 같네요.
우리 모두 성공하면 좋겠지만..
적어도 실패하지 않는 인생을 살아봐요!~~!
파이팅~!!